세 여자가 만나 한 인물이 된다. 국립극단은 가을마당 두 번째 작품으로 오는 10월 3일부터 퓰리처상에 빛나는 에드워드 올비의 <키 큰 세 여자>를 명동예술극장에서 선보인다. <키 큰 세 여자>는 한국연극의 대모 박정자와 손숙이 7년 만에 한 무대에 서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고집 세고 까다로운 한 여자의 인생을 재치있게 그려내 세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박정자는 죽음을 앞두고 알츠하이머 증세로 기억을 잃어가는 90대 할머니 A를, 손숙은 A의 변덕에 능수능란하게 대처하는 50대 간병인 B 역할을 맡아 중년의 불안함과 담담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신이 늙는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하는 당돌한 20대 C는 국립극단 시즌단원 김수연이 연기한다. <키 큰 세 여자>의 총 지휘는 세련된 무대미학을 추구하는 이병훈 연출이 맡게 돼 강렬한 카리스마의 박정자와 냉정함과 따뜻함이 공존하는 배우 손숙의 연기 내공을 무대 위에 온전히 발현시킬 예정이다.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자신의 운명과 화해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린 이 연극은 특별한 두 배우의 만남으로 더욱 의미있는 공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 여자가 방 안에 있다. 91세의 부유한 노인인 A는 병으로 누워 있고, 52세의 간병인 B와 변호사 사무실에서 온 26세의 C가 그 옆에 있다. 치매 증세가 있는 A는 끊임없이 자신의 육체적 쇠약함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불평을 두서없이 늘어놓고 중년의 B는 까다로운 노인 A를 보살피면서 위로와 조롱을 일삼는다. 젊은 C는 늙은 A의 무례한 말과 행동을 이해할 수 없어 난감해 한다. A는 파편화되고 왜곡된 기억들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어머니와 남편, 그리고 떠나버린 아들을 원망한다. 모든 가족과 자신을 둘러싼 모든 이들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했을 때 A는 갑자기 심장발작을 일으키며 쓰러진다. 돌연 세 여자는 쓰러진 A의 분신이 되어 불행했던 한 여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논한다.
<키 큰 세 여자>는 서로의 과거이자 미래인 세 여인이 만나 첫사랑에서부터 결혼, 자식과의 절연에 이르기까지 다사다난했던 한 여자의 인생을 매우 인간적인 방식으로 돌아보는 희곡이다. 사실적이면서도 동시에 비현실적인 독특한 구성으로 죽음을 앞두고 지난 삶을 돌아보는 한 노인의 모습이 감동적으로 그려진다. 특히, 각각의 세대가 자신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죽음을 통해 모든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다는 삶의 유한함과 그 안에서 발견하는 행복을 이야기하며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힘을 이 작품은 지니고 있다. 더불어 자칫 무거워질 수도 있는 죽음이라는 주제를 비극적 코미디로 풀어가며 죽음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현대인에게 죽음은 누구에게나 오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며, 끝이 있기에 인생이 더 아름답고 소중한 것임을 일깨운다.
이렇듯 미국 현대연극의 거장 에드워드 올비의 자전적 희곡이 이병훈의 섬세하고 사실적인 연출과 결합하여 한국 관객과 만날 채비를 마쳤다. 물론 이 연극을 완성시킨 것은 두 말 할 필요도 없이 두 명의 국민배우다. 박정자와 손숙이 구현하는 <키 큰 세 여자>의 공연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김성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