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는 세계적인 거장부터 주목받는 신진 작가, 전통 공예에서 파인 아트에 이르기까지 경계 없는 다채로운 작품과 컬렉션 800여 점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느낄 수 있는 층별 공간에서 선보이며, 예술 작품과 디자인 오브제가 사람과 공간을 특징짓는 매개가 되고, 개인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음에 주목한다.
첫 번째로 M2에 위치한 스플릿 하우스에서는 클래식한 마스터피스들을 만나볼 수 있다. 맑은 물방울 속에 존재의 순수성을 담는 김창열의 대표작 〈물방울 ENS 204 Waterdrops ENS 204〉(1979)을 비롯해 〈회귀 SH97017 Recurrence SH97017〉(1996)을 만나볼 수 있으며,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이우환의 대작 〈바람과 함께 With Winds〉(1992)와 이정진, 토리 베그, 파블로 피카소, 권영우, 이봉열, 최선희의 회화, 도자, 사진 작품들이 베이지와 브라운 톤의 공간 속에서 펼쳐지며 편안함을 선사한다.
이와 대조적인 분위기의 M3층 테라스 하우스 공간은 모노톤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상의 풍경을 담담히 기록해 온 김영택의 섬세한 펜화 작업과 하종현의 〈접합 93-011 Conjunction 93-011〉(1993), 〈접합 93-024 Conjunction 93-024〉(1993) 등 흑백의 회화 작품을 포함해 주명덕, 조르쥬 루쓰, 요아킴 슈미트, 올라퍼 엘리아슨의 사진과 코엔 테이스, 한홍일, 김웅의 작품이 공간 속에 조화롭게 배치되며 고요하고 정제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전시의 마지막 층 M4에 위치한 듀플렉스 하우스는 과감한 색채를 바탕으로 유쾌한 감성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문 백남준의 대표작 〈사과나무 Apple Tree〉(1995), 〈즐거운 인디언 Happy Hoppi〉(1995)가 5년여 만에 동시 공개되는 한편,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김기린, 사라 모리스, 박미나, 김보현, 파스칼 몽테이, 홍승혜, 이미혜의 작품이 공간에 함께 어우러지며 다이내믹한 풍경을 선사한다. 그뿐만 아니라, 2011년 <Touch Me> 전시로 국내에 처음 소개된 패션 사진계의 거장 유르겐 텔러, 2017년 <YOUTH> 전시를 통해 청춘의 아이콘으로 주목 받은 파올로 라엘리, 더그 드부아까지 대림문화재단이 국내에 소개해 온 작가들의 작품도 다시금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전시 공간 곳곳에는 작품 감상을 넘어서는 또 다른 즐거움이 기다리고 있다.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개인 컬렉터들의 프라이빗 컬렉션이 그 주인공으로, 카우스, 무라카미 다카시 등 서브컬처 및 팝아트 아이콘과 관련된 희귀 수집품부터 희소가치 높은 빈티지 미니카, 넥타이, 레트로 서핑보드 등 총 600여 점에 이르는 다양한 오브제가 소개되며, 타인의 취향이 고스란히 담긴 컬렉션을 마주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여기에 양승진, 김현희, 이재하 등 실험적인 소재와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국내 신진 작가들의 가구와 전통 공예품은 물론 감각적인 디자인의 디자인 가구가 더해지며 공간을 입체적이고 감각적으로 완성한다.
디뮤지엄은 이번 전시 <취향가옥 2: Art in Life, Life in Art 2>를 통해, 그동안 아트페어나 제한된 무대에서만 접할 수 있었던 주요 작품들을 ‘집’이라는 사적이고도 의미 깊은 공간 안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예술 작품과 디자인 가구, 오브제들이 어우러진 공간을 거닐다 보면, 관람객은 일상 속 익숙한 풍경을 새롭게 감각하고, 예술이 삶 속에 스며들며 만들어내는 미묘한 변화와 풍요로움을 직접 체감하는 특별한 시간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