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진공단열재와 시공법으로 저탄소 사회를 견인한다 | ㈜비코 전순복 대표 | 2020.7 | 
				 
				
					| 
진공단열재는 일반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부피가 얇다.하지만 진공단열재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건축 분야에서 구찌나 아르마니와도 같은 존재였다. 이와 함께 까다로운 시공법으... | 
				 
				 
			  | 
		
		 
		 
	 | 
	
		
		
					
				 																	
			 | 					
			
				
				
					| 세계 최초 공기발전기 개발 새로운 에너지 시대를 열다! | ㈜엔오엔그리드 주남식 회장 | 2020.6 | 
				 
				
					| 
인류가 장구한 역사를 가지는 데 있어서 에너지의 역할은 그야말로 결정적이었다. 석탄, 석유 등으로 대표되는 에너지는 인류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하지만 석탄, 석유 등은 에너지 고갈이라는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 | 
				 
				 
			  | 
		
		 
		 
	 | 
	
		
		
					
				 																	
			 | 					
			
				
				
					| 맛있는 궁 잔기지떡으로 외식 사업을 선도한다 | 궁 잔기지떡 오기석 대표 | 2020.6 | 
				 
				
					| 
오뉴월 뙤약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온전한 떡이 있다. 바로 기지떡이다. 여름에는 음식이 쉽게 상하기 마련인데, 이 떡은 삼복더위에도 끄떡없다. 술을 넣어 발효시켜 만들어 그 안에 들어있는 효모나 세균의 작용으로 부드... | 
				 
				 
			  | 
		
		 
		 
	 | 
	
		
		
					
				 																	
			 | 					
			
				
				
					| 고품질의 욕실 자재로 고품격 욕실 문화를 만든다 | 파인바스 박건민 대표 | 2020.6 | 
				 
				
					|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함에 따라 욕실의 역할 또한 바뀌고 있다. 과거의 욕실은 그저 단순히 씻는 공간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날 욕실은 휴식의 공간이자 나를 드러내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 | 
				 
				 
			  | 
		
		 
		 
	 | 
	
		
		
					
				 																	
			 | 					
			
				
				
					| 꽃풍선의 붐을 일으킨 소자본 창업의 메카 ‘그램벌룬’ | 그램벌룬 이화영 대표 | 2020.6 | 
				 
				
					| 
풍선은 다양한 생활소품으로 활용된다. 이를테면 프로포즈부터 아이들 돌잔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활용도를 자랑한다. 그런데 금방 바람이 빠져 볼품이 없어지는 경우도 허다한 게 사실이다. 그램벌룬(대표 이화영)이 주목... | 
				 
				 
			  | 
		
		 
		 
	 | 
	
		
		
					
				 																	
			 | 					
			
				
				
					| 면역의 결정체인 녹용으로 100세 건강을 설계한다 | 유풍열 건강 | 2020.5 |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창궐로 인하여 면역력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는 시기다. 면역력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능력이다. 면역력이 강하면 설령 병원균에 노출이 되더라도 그... | 
				 
				 
			  | 
		
		 
		 
	 | 
	
		
		
					
				 																	
			 | 					
			
				
				
					| 친환경 생분해성 제품으로 자연을 살리는 기업 ‘에코그린파워’ | ㈜에코그린파워 박인업 대표 | 2020.5 | 
				 
				
					| 
바야흐로 필(必)환경 시대다. 필환경이란 친환경을 넘어 반드시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화학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풍요... | 
				 
				 
			  | 
		
		 
		 
	 | 
	| 
		
	 | 
	
		
		
					
				 																	
			 | 					
			
				
				
					| 부위별로 세분화하여 즐기는 닭고기 특수부위 전문점 ‘팔각도’ | 팔각도 조성욱 대표 | 2020.4 | 
				 
				
					| 
신종 바이러스 ‘코로나19’에 따른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강력한 전염성을 지닌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은 집 밖으로 나가는 걸 꺼리고 있다. 그리하여 외식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평소 매출 대비 절반 이하로 떨어진 ... | 
				 
				 
			  | 
		
		 
		 
	 | 
	
		
		
					
				 																	
			 | 					
			
				
				
					| 순간의 행복을 담아 함께 즐기는 커피 | 커피프로브 송호열 대표 | 2020.4 | 
				 
				
					|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의 취향이 다양해지고 고급화됨으로써 커피 시장 역시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마니아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스페셜티 커피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다. 스페셜티 커피는 기존 커... | 
				 
				 
			  | 
		
		 
		 
	 | 
	
		
		
					
				 																	
			 | 					
			
				
				
					| 불편함을 편리함으로 바꾼 친환경 우산 빗물제거기 ‘이지레인’ | ㈜스마트이지 이승훈 대표 | 2020.4 | 
				 
				
					| 
일회용품은 환경오염의 주범이다. 특히 비 오는 날에 무심코 썼던 일회용 우산비닐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심각한 원인이다. 각 기관 또는 시설 등에서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리는 우산비닐은 연 2억 장에 육박할 뿐만 아니... | 
				 
				 
			  | 
		
		 
		 
	 | 
	
		
		
					
				 																	
			 | 					
			
				
				
					| 혁신적인 자동화 시스템으로 자영업의 롤 모델을 제시하다 | (주)환희 에스페란자 김광수 대표 | 2020.4 | 
				 
				
					| 
지난달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관한 5대 경제단체 대표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정 총리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상황이 어렵고 앞으로도 결코 낙관... | 
				 
				 
			  | 
		
		 
		 
	 | 
	
		
		
					
				 																	
			 | 					
			
				
				
					| 100년을 함께 하는 브랜드, 음식으로 정情을 나눈다 | (주)명륜당 강형준 대표 | 2020.4 | 
				 
				
					| 
먹고 싶은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있는 무한리필은 품질이 썩 좋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있다. 이러한 편견을 깬 ㈜명륜당(대표 강형준)의 ‘명륜진사갈비’는 질 좋은 고기를 내놓음으로써 높은 가성비를 확보하며 소비자가... | 
				 
				 
			  | 
		
		 
		 
	 | 
	
		
		
					
				 																	
			 | 					
			
				
				
					| 혁신적인 원적외선 농법으로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든다 | ㈜정도농산 조정관 대표 | 2020.3 | 
				 
				
					| 
‘웰빙(Well-being)’은 어느새 우리나라를 아우르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건강에 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자연스레 이른바 ‘슈퍼푸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땅속의 슈퍼푸드’라는 애칭을... | 
				 
				 
			  | 
		
		 
		 
	 | 
	
		
		
					
				 																	
			 | 					
			
				
				
					| 프리미엄 브랜드 ‘보보펫’ 수제 간식에 영양을 입히다 | (주)보보펫 조용건 대표 | 2020.3 | 
				 
				
					| 
1인 가구 및 딩크족의 증가로 반려동물 산업은 급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자식 혹은 가족 구성원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맞물린 결과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한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올해 6조 ... | 
				 
				 
			  | 
		
		 
		 
	 |